스위시 한글 메뉴얼
File 메뉴
- New(Ctrl+N) : 새로운 스위시 무비를 만듭니다.
- Open(Ctrl+O) : 저장되어있는 *.swi(스위시 무비 파일)을 엽니다.
- Save(Ctrl+S) : 현재 작업 중인 무비를 저장합니다.
- Save As : 현재 작업 중인 무비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 New from Template : 템플릿(Template)을 불러와 새로운 스위시 무비를 만듭니다.
- Save as Template : 템플릿으로 저장합니다.
- New Window(Ctrl+Shift+N) : 새로운 작업창을 엽니다.
- Samples :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swi 샘플 파일을 스위시맥스에서 열 수 있습니다.
- Import! : 외부파일을 불러옵니다. 불러올 수 있는 파일에는 *.txt, *,bmp, *.dib, *.gif, *.if, *.jpeg, *.png, *.wmf, *.emg, *.swf, *.exe, *.swi, *.wav, *.mp3가 있습니다.
- Export : 스위시 무비를 웹에서 사용할 수 있는 *.swf 파일이나 *.swf 파일을 포함한 웹 문서 파일(*.html), 동영상 파일(*.avi), 실행파일(*.exe)로 만들 수 있습니다.
- Test : 작업한 스우시 무비 파일을 웹 브라우저나 플래시 플레이어에서 테스트합니다. 또한, Report 기능을 이용하여 작업한 파일의 세부 사항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Recent Files : 최근 작업한 파일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 Close(Ctrl+F4) : 현재 작업 중인 창을 닫습니다.
- Exit : 스위시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Edit 메뉴
- Undo(Ctrl+Z) : 마지막에 실행한 작업을 취소하고 그 이전 작업 상태로 되돌려 놓습니다.
- Redo(Ctrl+Y) : 되돌리기(Undo)로 취소했던 작업을 다시 실행합니다.
- Cut(Ctrl+X) : 선택한 오브젝트를 삭제하거나 지정한 효과(Effect)를 없애고, 그 내용을 클립보드(Clipboard)에 복사해 둡니다.
- Copy(Ctrl+C) : 선택한 오브젝트 혹은 지정한 효과 등을 클리보드에 복사할 수 있습니다.
- Paste(Ctrl+V) : 자르거나(Cut) 복사한(Copy) 오브젝트 또는 효과를 붙여넣기합니다.
- Paste in Place : 제자리에 붙여넣기 합니다.
- Delete : 선택한 오브젝트 또는 효과를 삭제합니다.
- Select All(Ctrl+A) : 현재 장면(Scene)의 모든 오브젝트를 선택합니다.
- Deselect All(Ctrl+Shift+A) : 선택된 모든 오브젝트의 선택을 해제합니다.
- Find : 현재 작업 중인 무비에서 택스트(Text)를 검색합니다.
- Make Instance : 객체 인스턴스(Instance)를 만듭니다.
- Show : 선택한 오브젝트를 [레이아웃] 패널에 보이도록 설정합니다.
- Hide : 선택한 오브젝트를 [레이아웃] 패널에서 안 보이도록 설정합니다.
- Lock : 잠금 속성을 적용합니다.
- Show All States : 모든 상태(버튼의 Up, Over, Down, Hit)를 보이게 합니다.
- Hide All except : 선택된 오브젝트를 제외한 모든 오브젝트를 안 보이게 합니다.
- Lock All except : 선택된 오브젝트를 제외한 모든 오브젝트를 잠금 속성을 적용합니다.
- Open Object : 스프라이트의 오브젝트 편집 모드를 나타냅니다.
- Expand Object : 선택한 오브젝트의 세부 설정 옵션을 보이게 합니다.
- Close Object : 선택한 오브젝트의 세부 설정 옵션을 닫습니다.
- Properties(Alt+Enter) : [오브젝트] 패널에 선택한 툴 또는 오브젝트의 속성을 표시합니다.
- Preferences : 환경 설정 대화상자를 나타냅니다.
View 메뉴
- Preview Frame : 미리 보기 프레임 모드로 전환합니다. 현재 선택된 프레임이 재생되는 모습을 [레이아웃]패널에 표시합니다.
- Toolbars : 스텐더드(Standard), 익스포트(Export), 인서트(Insert), 컨트롤(Control) 등의 툴바를 표시하거나 감춥니다.
- Status bar : 상태바를 보이거나 감춥니다.
- Zoom in(Ctrl+=), out(Ctrl+-) : [레이아웃] 패널에서 작업 공간의 보기 배율을 확대하거나 축소합니다.
- View at 100% : [레이아웃] 패널에서 작업 공간을 실제 크기로 표시합니다.
- Fit Scene(Objects) in Window : [레이아웃] 패널에서 작업 공간의 크기를 [레이아웃] 패널의 크기 혹은 오브젝트의 크기에 적당히 맞춥니다.
- Show Ruler(Grid, Guides) : [레이아웃] 패널에서 눈금자(Ruler), 격자(Grid), 가이드(Guide)를 보이거나 감춥니다.
- Lock Guides : 설정한 가이드가 변하지 않도록 잠급니다.
- Clear All Guides : 설정한 가이드를 화면에서 모두 지웁니다.
- Snap to Grid(Pixels, Object Handles, Guides) : 격자, 픽셀, 가이드, 오브젝트 핸들에 스냅(Snap, 자동으로 맞추어 위치가 조정되는 기능)을 적용합니다.
- Show All Images : [레이아웃] 패널에 모든 이미지를 나타냅니다. 이 항목이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선택한 이미지만 [레이아웃] 패널에 보이게 됩니다.
- Smooth Edges and Images : 오브젝트의 가장자리와 이미지를 부드럽게 처리합니다.
Insert 메뉴
- Scene : 스위시 무비에 새로운 장면(Scene)를 삽입합니다.
- Text~Imstance : 현재 작업 중인 장면/스프라이트/그룹에 택스트, 버튼, 스트라이트, 이미지파일, 외부 파일, 특정 스프라이트의 인스턴스(Instance)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 Effect : 선택한 오브젝트에 애니메이션 효과(Effect)를 삽입합니다.
- Script : 선택한 오브젝트 또는 프리엠이 스크립트를 삽입합니다.
- Insert Frame(s)(F5) : 타임라인에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합니다.
- Delete Frame(s)(Shift+F5) : 타임라인에서 선택한 프레임을 삭제합니다.
- Insert Second(Ctrl+F5) : 타임라인에 1초(Frame Rate에서 설정한 값)에 보여질 만큼의 프레임들을 추가합니다.
- Delete Second(Ctrl+Shift+F5) : 타임라인에 1초에 보여질 만큼의 프레임들을 삭제합니다.
Modify메뉴
- Grouping : 선택한 오브젝트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거나 해제합니다.
- Convert : 선택한 오브젝트를 버튼 또는 스프라이트로 전환합니다.
- Break : 선택한 오브젝트를 분리하여 각 형태를(Shape)의 그룹이나 낱글자들(Letters)의 그룹, 또는 조각들(Pieces)의 그룹으로 전환시킵니다.
- Order : 선택한 오브젝트의 상하 순서를 조정합니다.
- Transform : 선택한 오브젝트를 90˚, 180˚, 270˚ 회전하거나 수평 또는 수직으로 뒤집습니다.
- Anchor : 오브젝트의 정렬 기준점(Anchor Point)을 설정합니다.
- Align : 선택한 오브젝트를 특정 기준에 따라 정렬합니다.
- Justification : 텍스트 오브젝트의 정렬(왼쪽, 가운데, 오른쪽 , 양쪽)을 설정합니다.
- Apperarance : 텍스트 오브젝트에 볼드(Bold)나 이탤릭(Italic)속성을 적용하거나 해제합니다. 또한, 가로쓰기나 세로쓰기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 Font Type : 폰트 스타일을 설정합니다.
Control 메뉴
- Play Movie : 정지된 무비를 실행합니다.
- Play Timeline(Effect) : 현재 선택된 장면(Scene), 스프라이트(Sprite) 또는 효과(Effect)만 실행합니다.
- Preview Frame : 현재 작업 중인[레이아웃]패널을 미리 보기 프레임 모드로 전환합니다.
- Stop : 실행 중인 무비를 정지합니다.
- Step Forward(Back) : 미리 보기 프레임 모드에서 플레이 헤드를 한 프레임 앞으로(뒤로)
이동합니다.
- Cue to End : 미리 보기 프레임 모드에서 플레이 헤드를 마지막 프레임으로 이동합니다.
- Rewind to Start : 미리보기 프레임 모드에서 플레이 헤드를 시작으로 프레임으로 이동합니다.
Tools 메뉴
- Preferencs : 스위시 맥스의 기본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환경 설정 대화상자를 나타냅니다.
- Customize : 커맨드(Commands), 툴바(Toolbars), 툴(Tools), 키보드(Keyboard), 메뉴(Menu), 옵션(Options) 등을 설정합니다.
- Keyboard Map : 커맨드(Commands)에 관한 간단한 설명 및 단축키 등을 보여줍니다.
Panels 메뉴
- 각 패널을 나타내거나 감추는 역할을 합니다.
- Reset to Defaults : 각 패널의 위치를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무비(Movie) 패널
- Background Color : 무비의 배경 색을 설정합니다.
- Width : 무비의 가로(Width) 크기를 픽셀(pixel)로 설정합니다.
- Height : 무비의 세로(Height) 크기를 픽셀(pixel)로 설정합니다.
- Frame Rate : 초당 재생되는 프레임 수를 설정합니다. 보통 8~20 사이가 적당하며, 기본값(Default)은 12입니다.
- Stop playing at end of movie : 무비의 재생이 끝나면 정지하게 만듭니다. 여기에 체크되어 있지 않으면 무비의 재생이 반복됩니다.
텍스트(Text) 패널
- Name : [아웃라인] 패널에 표시되는 텍스트 오브젝트의 이름을 설정합니다.
- Target : 스위시 스크립트로 제어할 수 있는 오브젝트로 설정됩니다. 이름(Name)을 기입해야 활성화됩니다.
- Font Selection : 사용할 글꼴을 설정합니다.
- Font Size : 글자 크기를 설정합니다.
- Text Color : 글자 색상을 설정합니다.
- Fonts Type : 폰트 타입을 설정합니다.
- Bold : 볼드체로 설정합니다.
- Italic : 이탤릭체로 설정합니다.
- Text Justification : 텍스트 정렬을 설정합니다.
- Text Flow : 글자의 진행 방향을 설정합니다.
- Static/Dynamic/Input : 텍스트 속성을 설정합니다.
- Options : 상세 설정을 위한 옵션을 보이거나 감춥니다.
효과
Core효과는 스위시 애니메이션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10개의 복합 효과로 Transform, Squeeze, Alternate, Snake, Explode, 3D Wave, Vortex, Wave, Typerwriter가 있습니다.
* Transform 효과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오브젝트의 위치, 알파값, 크기, 회전의 변화 등을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어 주로 오브젝트의 형태 변화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만들때 사용합니다. 효과의 시작, 중간, 마지막 부분에서 오브젝트의 형태 변화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구성 요소의 형태 변화를 이용한 효과로, 세부 설정은 [Transform] 대화상자를 이용합니다.
* Squeeze 효과
- 텍스트 오브젝트의 자간을 변화시키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3가지 우형으로 자간 변화의 기준을 설정 할 수 있는 Direction 옵션이 있어서 텍스트 오브젝트의 가운데 글자를 중심으로 중앙으로 모이는 효과, 텍스트 오브젝트의 왼쪽 글자를 기준으로 모이는 효과, 오른쪽 글자를 기준으로 모이는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 Alternate 효과
- 오브젝트의 구성 요소가 V자로 놓인 사태에서 완성된 모습을 만드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몇 개의 오브젝트 구성 요소로 V자 형태를 만들지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위치, 간격, 크기, 각도, 불투명도, 색상에 대한 변화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 Repeat every 'n' components : 몇 개의 컴포넌트로 사이클을 구성해서 반복시킬 것인지를
설정 합니다. 예를 들어, 효과를 줄 오브젝트의 컴포넌트(한 구성 요소의 중심에서 그 다음 구성
요소의 중심까지)가 6개(구성 요소는 7개)라면, 한 사이클(V자 형태)을 6개의 컴포넌트로 구성하
면 정확한 V자 동선(한 사이클)이 되지만 이를 만약 20으로 설정하면 20개의 컴포넌트로 한 사이
클(V자 동선)을 구성한다는 것이며, 이 경우 실제 한 사이클의 컴포넌트는 6개이므로 V동선의 앞
부분만을 이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 Start at component : 몇 번째 컴포넌트를 기준으로 사이클(V자 동선)을 시작할 것인지 설정합
니다.
+ Apply transforms to : 구성 요소에 Alternate 효과를 적용함에 있어 위치(Position), 간격
(Spacion), 크기(Scale), 각도(Angle), 불투명도(Alpha), 색상(Color)에 대한 변화를 각각 컴포
넌트를 함께 묶어 한꺼번에(All) 적용할 것인지, 상대적으로 상호 반대되도록(Opposite)적용할
것인지, 기본값을 동일하게(Same) 적용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 Snake 효과
- 이름이 갖는 의미처럼 마치 뱀이 움직이듯이 오브젝트를 움직이게 만들 때 사용하는 애니메이션 효과입니다. Snake 효과는 다양한 세부 설정 옵션이 있습니다. 이런 옵션은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전체적인 효과를 완성해내기 때문에 하나의 속성이 갖는 의미는 크지 않습니다. 여러 번 반복해서 설정값을 변경하는 과정을 통해 최적의 모습을 찾아 보세요.
+ By component : 구성 요소별로 효과를 적용합니다.
+ Start flat : 애니메이션의 처음 출발 방향을 일직선으로 설정합니다.
+ Follow path : 구성 요소를 애니메이션의 동선에 맞추어 변형, 회전하게 만듭니다.
+ Wave : 웨이브의 형태와 시작점 등을 설정합니다.
+ Forword : 구성 요소를 순서대로 움직이게 합니다.
* Explode 효과
+ Direction : 각 구성 요소를 폭파(Explode)시킬 것인지, 반대로 폭파된 구성 요소를 모이게
(Implode)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ZSpread의 수치가 커질수록 방향 변화의 폭이 커집니다.
+ Bomb - 폭파 시 폭탄의 힘과 위치를 설정합니다.
˚ Position : 폭탄의 위치를 설정합니다.
˚ Random : 랜덤 정도를 설정합니다.
˚ Rnd seed : 파편의 무작위 흩뿌림 형태를 설정합니다. 숫자를 달리 입력하면 폭발모습이 조금
씩 달라집니다.
˚ Strength : 폭탄의 힘을 설정합니다. 값이 커질수록 파편이 멀리 강하게 퍼져나갑니다.
˚ Multiple Bombs : 다중 폭탄 여부를 설정합니다.
+ Grabity - 중력의 작용에 관하여 설정합니다. 중력의 힘(Strength)과, 방향(Direction), 각도를 설
정할 수 있습니다.
* 3D Spin, 3D Wave 효과
- 3D Spin : 오브젝트에 3D 회전 효과를 만듭니다.
+ Spin Direction : 회전 방법을 설정합니다.
˚ Spin forwards : 오브젝트가 사라지면서 효과가 진행됩니다.
˚ Spin backward : 오브젝트가 나타나면서 효과가 진행됩니다.
˚ Common axis : 중심점을 기준으로 한 기본적인 회전축으로 설정합니다.
˚ Rotation order : 회전 순서를 설정합니다.
- 3D Wave : 오브젝트에 3차원 웨이브 효과를 만듭니다.
+ Wave : 웨이브의 X, Y, Z축 사이클 빈도와 색상 및 불투명도를 설정합니다.
˚ Amplitude : 진폭을 설정합니다.
˚ Frdq(Horz) : 각 컴포넌트의 수평위치에 따른 사이클 빈도를 설정합니다.
˚ Freq(Vert) : 각 컴포넌트의 수직위치에 따른 사이클 빈도를 설정합니다.
˚ Freq(Time) : 애니메이션의 지속 시간에 따른 사이클 빈도를 설정합니다.
˚ Freq(Radius) : 오브젝트의 중심점으로부터의 반경에 따른 사이클 빈도를 설정합니다.
+ Constraints : 3D Wave 애니메이션 효과의 제한사항을 설정합니다. Fix(고정축), Mirror
vert/horx(수평수직 반사), Delay in(지연정도), Decay out(붕괴정도)를 설정합니다.
* Vortex, Typewriter
- Vortex(회오리)
+ Direction : 소용돌이 효과의 진행 방향을 설정합니다.
˚ Swirl outwards : 외부로 소용돌이를 진행합니다.
˚ Swirl inwards : 내부로 소용돌이를 진행합니다.
˚ Common axis : 중심점을 기준으로 한 기본적인 회전축으로 설정합니다.
+ Gravitation point : 중력 포인트를 설정합니다.
˚ Midpoint : 중심점을 설정합니다.
˚ Rotation order/Angles : 회전 순서와 각도를 설정합니다.
- Typewriter
+ Show character every 'n' frames : 글자가 나타나는 속도를 설정합니다. '1'이 가장 빠르며 숫
자가 커질수록 속도가 느려집니다.
+ Show cursor while typing : 타이핑하는 동안 커서가 보이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Flash cursor every 'n' frames : 커서가 깜박이는 속도를 설정합니다. '1'이 가장 빠르며 숫자가
커질수록 속도가 느려집니다.
+ At start of line flash cursor 'n' times : 시작 부분에서 커서가 깜박이는 횟수를 설정합니다.
+ At end of line flash cursor 'n' times : 끝 부분에서 커서가 깜박이는 횟수를 설정합니다.
+ Cursor Character : 커서의 모양을 설정합니다.
* Wave
+ Whole object : 이 항목에 체크하면 오브젝트 구성 요소가 각각 웨이브되지 않고 하나의 덩어리
로 묶여 전체가 웨이브 됩니다.
+ Rotate to follow wave : 웨이브의 동선에 따라 구성 요소의 형태를 회전시킵니다.
+ Decay amplitude of wave : 웨이브 의 진폭을 점차 감소시킵니다.
+ Start flat : 평행 위치에서 시작합니다.
+ End flat : 평행 위치에서 끝납니다.
+ Direction : 웨이브 효과의 진행 방향을 설정합니다.
+ Cycles : 웨이브 사이클을 설정합니다.
+ Length : 웨이브에 적용할 힘을 설정합니다
'●-음악편지-● > 블로그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치 (0) | 2017.01.02 |
---|---|
앵무새 물결 (0) | 2016.12.22 |
스위시맥스 용어풀이 (0) | 2016.12.14 |
스위시 소스 -전체보기 (0) | 2016.12.14 |
스위시 작품 글올리기 (0) | 2016.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