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액과소증(膵液過少症)
원인(原因)
췌액결핍증, 췌장기능부전이라고 하기도 한다. 비장 및 부신호르몬의 분비 이상에 의해서 생긴다. 교감신경, 미주신경 실조에 의해서 온다.
증상(症狀)
췌장이 약해 소화액이 충분히 나오지 않아 소화 및 흡수작용 저하되므로 영양불량을 가져온다. 오래되면 비쩍 마르고 피가 모자라 빈혈이 오기도 한다. 만성 위장병으로서 위장약을 복용하여도 효과가 없을 경우 이 병증이 많다.
치료(治療)
족삼리(足三里), 곡지(曲池), 폐유(肺兪), 고황(膏肓), 비유(脾兪), 삼초유(三焦兪), 소장유(小腸兪), 기해(氣海), 관원(關元), 우활육문(右滑肉門), 중완(中脘), 좌양문(左梁門)에 뜸한다. 췌액과소는 췌장의 기능이 약해져서 생기는 것인데 췌장은 침뜸의학에서 비위의 기능에 해당한다. 먼저 무극보양뜸으로 몸 전체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비기(脾氣)가 등에 모이는 비유, 국부의 삼초유, 우활육문, 좌양문을 선혈해 하루에 3~5장씩 뜸을 뜬다. 이렇게 뜸을 뜨면 가장 먼저 소화가 잘 되며 어지러움도 없어진다.
※발췌 : 평생건강을 위한 뜸[灸]의 이론과 실제. 灸堂 |
'●-건강요리-● > ♤ 건강 정보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수(咳嗽) (0) | 2017.01.22 |
---|---|
감기(感氣) (0) | 2017.01.22 |
췌장염(膵臟炎) (0) | 2017.01.22 |
비장비대증(脾臟肥大症) (0) | 2017.01.22 |
고창(鼓脹) (0) | 2017.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