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
해마다 뇌졸중(중풍)과 심장병에 의한 사망이 증가하고 있다. 이 두 가지를 합치면 암으로 인한 사망자보다 훨씬 많다고 한다. 이러한 중풍과 심장병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은 동맥경화라고 한다. 동맥경화에 대해서는 이제까지는 노화현상으로 인한 증상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결코 노화 현상이 아니고 젊은 시절에도 일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원인(原因)
동맥경화증은 병리학적으로 다음 세 가지를 들고 있다.
세동맥(細動脈) 경화증 가느다란 동맥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고혈압에 의해서 촉진되며 뇌나 신장의 동맥이 많이 침식된다.
아테롬(Atherom) 경화증 일반적인 동맥경화로 혈관내벽에 죽 같은 지질이 축적되 발생하는 것으로 죽상(粥狀) 경화증이라고도 한다. 큰 것 또는 중간 굵기의 동맥의 내막에서 일어나는 아태롬경화는 뇌나 심장의 동맥이나 대동맥에서 일어나는데 뇌일혈과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고 아태롬경화를 촉진하는 것에는 혈액 중의 지방 증가 특히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의 증가와 관련 있다고 한다.
중막(中膜) 경화증 동맥의 중막에서 일어나는 중막경화는 큰 혈관에 석회 침착을 일으키는 것인데 이것은 노화와 비교적 관계가 깊다.주로 사지 근육내 동맥경화와 관련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이 동맥경화는 그 발생 형태와 혈관이 침범 당하는 상태에 있어 비교적 많은 차이가 있다. 이를테면 개개인의 육체적 조건을 보더라도 뇌의 동맥경화가 강하게 일어나고 있는데도 심장은 별로 심하게 일어나지 않거나 심장의 동맥경화는 심한데도 뇌는 별로 심하지 않은 경우 등이라고 한다. 그러나 침뜸의학의 입장에서 이 증은 심장계 질환이 주요 원인이다.
증상(症狀)
침습부위에 따라 증상을 달리한다. (1) 뇌혈관을 침범하면 불면, 두중감, 두통, 현훈, 기억력 감퇴, 기분변조, 흥분성 등의 정신적 장애가 있고 뇌출혈 및 연화증을 야기하기 쉽다. (2) 관상동맥을 침범하면 협심증을 일으키기 쉽다. (3) 대동맥경화에는 심계항진, 흉통, 격통 후의 호흡곤란 등을 나타낸다. (4) 심동맥경화는 심동맥경화증, 위축신이 된다. (5) 복부동맥경화는 결장, 고창(鼓脹), 복통의 발작을 일으킨다. (6) 말초혈관을 침범하면 간혈성파행증(間歇性跛行症) 등을 초래한다.
치료(治療)
족삼리(足三里), 곡지(曲池), 견외유(肩外兪), 고황(膏肓), 폐유(肺兪), 백회(百會), 지양(至陽), 간유(肝兪), 신유(賢兪), 중완(中脘), 기해(氣海), 관원(關元)에 뜸 5장씩 매일한다. 이런 환자들은 항시 견외유나 간유 부근이 뻐근하고 아픈 경우가 많다. 무극보양뜸에 뒤에서는 지양, 간유, 신유를 더해지속적으로 뜸뜬다. 동맥경화는 그 증상자체 보다는 그 후에 오는 중풍과 같이 뇌혈관, 심혈관계합병증이 무섭다. 좋은 피가 좋은 혈관을만든다. 뜸을 뜨면 피가 좋아지기 때문에 혈관이 좋아지고 아울러 뇌심혈관계 질환인 중풍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발췌 : 평생건강을 위한 뜸[灸]의 이론과 실제. 灸堂 |
'●-건강요리-● > ♤ 건강 정보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태성고혈압(本態性高血壓) (0) | 2017.01.22 |
---|---|
본태성저혈압(本態性低血壓) (0) | 2017.01.22 |
심장성천식(心臟性喘息) (0) | 2017.01.22 |
심근경색(心筋硬塞) (0) | 2017.01.22 |
협심증(狹心症) (0) | 2017.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