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요리-●/♤ 건강 정보실 ♤

상완신경마비(上腕神經痲痺)

코스모스 1 2017. 1. 22. 10:08

상완신경마비(上腕神經痲痺)

 

원인(原因)

 

감기, 외상, 수면 중 압박, 납중독, 주사로 인한 실수가 원인이 된다.

 

증상(症狀)

 

팔을 수평으로 놓으면 손은 축 늘어지고 상완 외전(外展), 주관절 굴곡 또는 상거(上擧) 등이 안 되고 요골신경마비에 의해서 상지 손의 신전(伸展)이 안 된다. 또 팔뚝 뒤쪽, 엄지손가락 쪽에 지각장애가 나타난다. 정중(正中)·척골신경(尺骨神經)의 마비에 의해서 전완(前腕) 전면부의 근육이나 손바닥 근육의 위축마비를 일으킨다.

 

치료(治療)

 

무엇보다 뜸으로 잘 낫는 축에 속하지만 대신 시간이 걸린다. 보통 6개월을 치료하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치료에 임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주사를 맞다가 잘못된 경우 의사들은 좀 지나면 낫는다고 말하는데 그러다가 마비가 아주 풀리지 않는 사람들을 종종 보았다.

대추(大椎), 고황(膏肓), 천종(天宗), 천료(天), 견중유(肩中兪), 견정(肩井), 견우(肩井), 곡지(曲池), 공최(孔最) 등에는 어느 곳이나 무방하다. 소해(少海), 지정(支正), 신문(神門), 외관(外關), 내관(內關), 대릉(大陵)은 필요에 따라 선혈해서 뜸한다. 처음에는 3장씩만 하고 뜨겁지 않을 때 5장씩 계속한다.

특히 주사를 잘못 맞아 마비가 된 것에는 직접 주사를 놓았던 자리에 뜸하는 것이 효과가 있고 빠르다.

 

※발췌 : 평생건강을 위한 뜸[灸]의 이론과 실제. 灸堂 김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