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곤란(月經困難)
원인(原因)
자궁의 위치이상, 발육부진, 자궁외구협착, 자궁종양, 자궁내외막염, 나팔관염, 난소염, 자궁신경과민, 신경질 등이 원인이 된다.
증상(症狀)
선골부가 당기고 오줌이 자주 마려우며 발작성 요통, 복통, 구토, 편두통 등이 나타난다.
치료(治療)
족삼리(足三里), 곡지(曲池), 축빈(築賓), 삼음교(三陰交), 조해(照海), 간유(肝兪), 신유(賢兪), 중완(中脘), 수도(水道), 중극(中極), 상료(上髎)에 5장씩 뜸한다. 월경곤란은 여성생식기만의 문제가 아니고 전신음양균형이 깨져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전신조정을 우선적으로 조정해 주어야 한다. 족삼리, 곡지, 중완으로 전신조정을 하면서 족삼음경이 만나는 삼음교는 조해와 함께 모든 생식기계 질환에 요혈로서 선혈한다. 정혈동원(精血同源)으로 혈(血)을 보함과 동시에 정(精)을 보충해야 하므로 간유와 신유를 취혈한다. 월경 역시 물이므로 물을 다스리는 중극과 수도를 선혈해 월경을 조절한다. 어떠한 염증이 있어서 월경이 잘 나오지 못하는 것 또는 염증에서 나온 불순물을 해독하기 위해 축빈을 선혈한다.
※발췌 : 평생건강을 위한 뜸[灸]의 이론과 실제. 灸堂 |
'●-건강요리-● > ♤ 건강 정보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후굴(子宮後屈) (0) | 2017.01.23 |
---|---|
대하(帶下) (0) | 2017.01.23 |
자궁부속기염(子宮付屬器炎) (0) | 2017.01.23 |
자궁근종(子宮筋腫) (0) | 2017.01.23 |
희발월경(稀發月經), 과소월경(過少月經) (0) | 2017.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