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요리-●/♤ 건강 정보실 ♤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

코스모스 1 2017. 1. 23. 16:17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

 

원인(原因)

 

난소의 기능이 쇠약해져서 위축되고 다른 내분비 장기와 협조가 되지 않는데 특히 난소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뇌하수체 또는 부신 등에 영향을 주어 혈관신경성 변화와 정신적 변화가 생겨 전신에 여러 가지 고통이 나타난다. 대체로 42~48세에 이르는 기간에 일어나는 것이 많은데 이것을 일반적으로 갱년기장애라고 한다.

 

증상(症狀)

 

난소의 활동이 좋지 않아서 월경이 불순해지고 늦어진다. 임신도 되기 어렵고 가령 임신이 된다고 해도 유산이 되거나 조산하기 쉽다.

국소의 변화로서는 대음순은 지방이 감소되기 때문에 늘어지고 음모는 적어지며 분비물은 오히려 증가한다. 전신의 피부는 늘어지며 엉덩이 주위는 오히려 지방이 축적되는 경향이 있어서 보기 흉하게 된다.

전신증상으로 어깨가 굳어지고 머리가 아픈 증상이 나타난다. 양쪽 어깨가 돌을 달아 놓은 것처럼 무겁고 머리는 무엇인가를 씌워놓은 것 같아서 매일 두통에 시달리고 머리가 명쾌하지 못하다. 현기증이 나고 때때로 상기되며 답답해지기도 하고 갑자기 냉감을 일으키고 식은땀이 나기도 하며 심계항진증이 일어나서 동계를 느끼고 심장부의 압박감이 일어나며 이따금 혈압이 높아진다.

이와 같은 기분을 이길 수 없는 상태가 계속되면 정신적으로 우울해져서 비관적이 되고 히스테리를 일으켜 때로는 정신에 이상을 가져오기도 한다.

 

치료(治療)

 

폐경이 되기 전부터 전신에 무극보양뜸을 계속하면 갱년기장애 없이 지낼 수 있다. 무극보양뜸으로 자기가 할 수 있는 자리인 족삼리(足三里), 곡지(曲池), 중완(中脘), 중극(中極), 수도(水道)를 계속한다. 갱년기장애가 있을 때는 백회(百會), 천료(天), 폐유(肺兪), 고황(膏肓), 간유(肝兪), 신유(賢兪), 족삼리(足三里), 곡지(曲池), 중완(中脘), 천추(天樞), 수도(水道), 중극(中極)에 뜸을 계속하여 뜬다.

 

※발췌 : 평생건강을 위한 뜸[灸]의 이론과 실제. 灸堂 김남수 

 


 

'●-건강요리-● > ♤ 건강 정보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부종(姙娠浮腫)  (0) 2017.01.23
임신오조(姙娠惡阻)  (0) 2017.01.23
냉증(冷症)  (0) 2017.01.23
불감증(不感症)  (0) 2017.01.23
불임증(不姙症)  (0) 2017.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