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요리-●/♤ 건강 정보실 ♤

선병질(腺病質 : 허약체질)

코스모스 1 2017. 1. 23. 16:35

선병질(腺病質 : 허약체질)

 

원인(原因)

 

삼출성 체질(渗出性體質)과 염증성 체질로서 이 체질의 어린이가 결핵에 감염되어 피부점막, 임파선 등에 이상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 체질의 어린이는 얼른 보아서는 살이 찌고 건강하게 보이는 가성비만형의 것과 너무 야윈 것이 두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가성비만의 것은 근육이 무르고 부풀어서 피부근육이 물렁물렁하고 연약하다. 어느 형이나 피부점막의 저항력이 약하고 염증을 일으키기 쉽고 피부에는 습진과 가려움이 생기고 입과 혀가 붉게 헐고 눈에는 결막염, 안검연염(眼瞼緣炎) 비염, 중이염, 편도비대, 기관지염, 폐렴, 장염, 두통, 불면, 권태, 식욕부진, 미열 등의 전신증상을 나타내고 경부, 악하임파선 또는 장간막선(腸間膜腺) 등이 부어오른다. 그러나 대다수가 생후 5년가량이고 7~8세 이상이 되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결핵에 감염되면 경부, 악하임파선이 종창이 되거나 화농천공(化膿穿孔)되어 누공(孔)을 일으키면 장간막에 종창을 가져와 장간막로(腸間膜癆)가 된다. 식욕이 항진되어도 야위고 배만 더욱 팽만하여진다. 옛날에는 이것을 비감(痺疳)이라고 하였다.

 

치료(治療)

 

뜸은 허약 아동의 강장요법으로서 체질을 개선시킨다.

유아에게는 신주(身柱), 신유(賢兪), 중완(中脘)에 뜸을 한다. 초등학교 입학기 아동에게는 폐유(肺兪), 고황(膏肓), 격유(膈兪), 신유(賢兪), 중완(中脘), 활육문(滑肉門), 관원(關元)에 2개월 이상 계속하여 뜸하면 눈에 보이도록 좋아진다.

 

※발췌 : 평생건강을 위한 뜸[灸]의 이론과 실제. 灸堂 김남수 

 


 

'●-건강요리-● > ♤ 건강 정보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다래끼[맥립종(麥粒腫)]  (0) 2017.01.23
안검연염(眼瞼緣炎)  (0) 2017.01.23
소아마비(小兒麻痺)  (0) 2017.01.23
야뇨증(夜尿症)  (0) 2017.01.23
야제증(夜啼症)  (0) 2017.01.23